Spring Boot

· Spring Boot
Gradle 의존성 설정// web socke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socket'   Config설정import com.practice.common.socket.WebSocketHandler;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import org.springframework.web.socket.config.annotation.EnableWebSocket;import org.springframework.web.socket.config.annotation.WebSocketConf..
· Spring Boot
Gradle 의존성 추가// mongoDB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mongodb'// web socke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socket' MongoDB 설정spring: data: mongodb: host: localhost port: 27017 authentication-database: admin username: MongoDB 아이디 password: MongoDB 비밀번호 database: MongoDB 데이터베이스명  STOMP 설정import com..
· Spring Boot
Filter Dispatcher Servlet 전/후 ServletRequest/ServletResponse 객체 변경 및 조작 수행 가능 WAS 구동 시 FilterMap이라는 배열에 등록되고 , 실행 시 Filter Chain을 구성하여 순차적으로 실행 Spring Context 외부에 존재하여 스프링과 무관하게 전역적으로 처리해야하는 작업들을 처리할때 사용. 일반적으로 web.xml에 설정 예외 발생 시 Web Application에서 예외 처리 공통된 보안 및 인증/인가 관련 작업 (XSS 방어)를 하여 올바른 요청이 아닐 경우 차단을 할 수 있다 스프링 컨테이너까지 요청이 전달되지 못하고 차단되므로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미지/데이터 압축 및 문자열 인코딩 변환 처리 Spring과 분리되..
· Spring Boot
TDD =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단순하게 표현하면 테스트를 먼저 설계 및 구축 후 테스트를 통과 할 수 있는 코드를 짜는것, 코드 작성 후 테스트를 진행하는 지금 까지 사용된 일반적인 방식과 다소 차이가 있음. 애자일 개발 방식 중 하나 코드 설계시 원하는 단계적 목표에 대해 설정하여 진행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결정 방향의 갭을 줄이고자 함 최초 목표에 맞춘 테스트를 구축하여 그에 맞게 코드를 설계하기 때문에 보다 적은 의견충돌을 기대할 수 있다. (방향 일치로 인한 피드백과 진행 방향의 충돌 방지) 테스트 코드 작성의 목적 코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기능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Side-Effect를 줄일 수 있다 해당 코드가 작성된 목적을 명화하게 ..
pows1011
'Spring Boot'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