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S란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의 약자로 한글로는 "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 정책 " 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데, 여기서 교차 출처 라는것은 ( 엇갈린 ) 다른 출처 라는 의미로 보면 된다. XMLHttpReqeust,Fetch API 스크립트 기본적으로 Same-Origin 정책을 따름. 다른 도메인의 소스에 대해 자바스크립트 Ajax 요청 API 호출 시, 웹 폰트 CSS 파일 내 @font-face에서 다른 도메인의 폰트 사용 시 자바스크립트에서의 요청은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도메인에 대한 요청을 보안상 제한한다. 브라우저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서버 연결만 허용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출처 ( Origin ) 란? 우리가 어떤 사이트를 접속할때 인터넷 주소창에 우..
oAuth 란 구글, 페이스북,트위터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의 특정 사용자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제 3자 클라이언트( 우리의 서비스 )가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위임 ( Delegated Authorization ) 받을 수 있는 표준 프로토콜이다. oAuth 2.0 주요 용어 용어 설명 Authentication 인증,접근 자격이 있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말한다 Authorization 인가, 자원에 접근할 권한을 부여하는 것, 인가가 완료되면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이 담긴 Access Token 이 클라이언트에게 부여됩니다. Access Token 리소스 서버에게서 리소스 소유자의 보호된 자원을 획득할 때 사용되는 만료기간이 있는 Token 입니다. Refresh Token Access Token이 만..
HTTP란 , HTTP 특징 더보기 텍스트 기반의 통신 규약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클라이언트)과 리소스가 존재하는 곳(서버)을 분리시키는 모델인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따른다. HTTP는 무상태 프로토콜이며, 이는 서버가 두 요청간에 어떠한 상태나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Cookie,Session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TCP/IP 레이어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응용 프로토콜이다. HTTP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Stateless의 특징과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맞는 응답을 보낸 후 연결을 끊는 Connectionless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HTTP의 동작 방식 더보기 클라이언트 서버에게 ..
Spring Framework란 더보기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자바 개발을 편리하게 해주는 오프소스 프레임워크를 말한다. 경량 컨테이너로서 자바 객체를 직접 관리한다 각각의 객체 생성, 소멸과 같은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며 스프링으로부터 필요한 객체를 얻어 올수 있다. IoC ( Inverson of Contorl 제어의 역전 )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느슨한 결합을 도모 컨트롤의 제어권이 사용자가 아닌 프레임워크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스프링에서 사용자의 코드를 호출함 IOC 컨테이너는 DI를 통해 주입시키는데 주입하는 방법은 생성자,메소드의 setter, 멤버변수에 @Inject,@Autowired 를 통해 주입합니다. DI (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을 지원 각각의 계층이나 서..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더보기 Database란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 전자 방식으로 저장된 구조화된 정보 또는 데이터의 체계적인 집합을 의미합니다. 통합된 데이터 (Integrated Data) :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가 중복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 데이터 중복은 관리상의 복잡한 부작용을 초래. 저장된 데이터 (Stored Data) : 컴퓨터가 접근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자료이다. 운영 데이터 (Operational Data) : 조직의 고유한 업무를 수행하는 데 존재 가치가 확실하고 없어서는 안될 반드시 필요한 자료이다.조직의 목적과 관계없이 저장된 데이터나 단순 입출력 데이터 같이 임시로 저장된 데이터는 운영 데이터에 속하지 않는다. 공용 데이터 (Shared Data) : 한 사..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TC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 입니다. 일반적으로 TCP와 IP가 함께 사용되는데,IP가 데이터의 전송을 처리한다면 TCP는 패킷 추적 및 관리를 하게 됩니다. 연결 지향형인 TCP는 3-Way HandShaking이라는 과정을 통해 연결 후 통신을 시작하는데, 흐름 제어와 혼잡 제어를 지원하며 데이터의 순서를 보장. 흐름 제어 , 혼잡 제어 더보기 흐름 제어 : 보내는 측과 받는 측의 데이터 처리속도 차이를 조절해주는 것혼잡 제어 : 네트워크 내의 패킷 수가 넘치게 증가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 TCP의 특징 연결형 서비스로 가상 회선 방식을 제공한다. 데이터의 전송 순서를 보장한다. 데이터의 경계를 ..